[노르웨이] 핵심은 지식이다

기록적인 수치: 개장 이후 약 700만 명이 다이히만 도서관을 방문했습니다. 2023년에만 250만 명이 방문했습니다(11월 기준 수치). 2022년, Deichman은 포용적 디자인 작업을 위해 노르웨이 디자인 및 건축 협회(DOGA)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핵심은 지식입니다.

기술적 솔루션이 마련되어 있다고 해서 접근성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핸드레일, 난간, 콘트라스트, 리프트, 도어 오프너 등 UU 핸들의 목록은 길다. 하지만 더 길어야 합니다. 오슬로에 메인 도서관과 여러 지점을 두고 있는 노르웨이 최대 공공 도서관인 Deichman의 서비스 디자이너인 Anne Aagaard의 의견입니다.

– 도서관법은 분명합니다. 기본 원칙은 여러 면에서 우리 민주주의의 중심인 도서관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은 이해를 얻기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차이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책을 전달하는 등 스토리텔링이 가진 힘과 가치를 활용해야 합니다.”라고 Anne Aagaard는 말합니다.

가이드 라인 그 이상

오슬로의 새로운 중앙 도서관인 다이히만 도서관은  2020년 여름에 문을 열었습니다. 콘텐츠가 풍부한 6개 층으로 이루어진 멋진 건물입니다.

– 신축 건물이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더 넓게 만들 수도 있었지만 건물 기술 측면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범위 내에 있습니다.”라고 Aagaard는 말합니다.

하지만 그녀의 초점은 주로 기술적 솔루션에 있지 않습니다. 그녀는 현재 도서관법의 내용을 이행하기 위한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저는 접근성이 단순히 지침이나 편의시설 그 이상이라는 사실에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접근성이라는 우산 아래에는 장애, 시각, 청각, 인지적 문제 그 이상의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측면이 있으며, 해결해야 할 상당히 복잡한 문제입니다.

“접근성은 가이드라인이나 에스컬레이터 그 이상이라는 것이 저의 진심 어린 믿음입니다.”  Anne Aagaard

문제 나누기

2023년, Aagaard는 조직에 대한 대대적인 인사이트를 통해 오늘날 접근성을 위해 무엇을 알고 어떻게 일하는지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네 가지 기둥에 따라 움직입니다.

– “직원들의 지식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자료실과 서비스를 스마트하게 활용하며, 이용자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도서관은 업무량이 워낙 많기 때문에 도전 과제입니다.”라고 Anne은 말합니다.

해결책은 문제를 해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용자와 현명하게 협력하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 Aagaard의 방식은 무엇보다도 전시, 반납, 도서 컬렉션, 문, 가구, 선반, 좌석, 카운터 등 이용자가 접하는 모든 장소와 사물에서 접점을 찾고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입니다: 이용자가 어떻게 경험하는가?

또는 컬렉션: 어떤 책을 전시할까요? 간단한 텍스트가 있는 책? 오디오북? 여성과 남성 작가? 인종이 다른가? 다양성의 관점을 고려하고 있나요? “우리는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발견한 내용을 구조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서로의 이야기를 잘 아는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대피소의 조명: 길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두 가지를 하나로: 방음과 램프가 하나로. 또한 천장은 소음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용자에게 물어보세요

그래서 그녀는 여러 조직 및 협회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협업을 통해 카드 덱 형태의 특정 교육 프로젝트가 탄생합니다. 각 카드에는 테마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앞면에는 카운터가 있고 뒷면에는 위치와 높이와 같은 실용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이용자를 어떻게 맞이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사항이 적혀 있습니다. 다른 카드는 이용자가 누구인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도서관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 “예를 들어, 이건 이렇습니다.”라고 Aagaard는 프로토타입을 보여주며 말합니다. 카드 앞면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저는 자폐증이 있습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반대쪽에는 “저는 다소 보호된 곳에 앉고 싶어요”, “저는 사람들과 가까이 앉고 싶지 않아요” 등 자폐증 환자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 “물론 실제 목소리를 들어야 하기 때문에 구글에서 검색하는 방식이 아닌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폐증 협회 소속 70명과 ADHD 노르웨이 단체 소속 82명이 도서관에서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려주었습니다.”라고 서비스 디자이너는 말합니다. “나는 불안증이 있습니다”, “나는 치매가 있습니다”, “나는 부분적으로 시력을 잃었습니다”, “나는 청각 장애가 있습니다”, “나는 당신의 언어를 말하지 않습니다”, “나는 ADHD가 있습니다” 등의 카드 내용에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됩니다.

명확하게 말하기: 이 건물은 종종 아이들과 유모차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제 승강기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1층에 유아 자료실을 신설할 계획입니다.

지식 확산

목표는 지식을 통해 직원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가장 잘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알도록 하는 것입니다. Anne Aagaard는 유니버설 디자인은 사고방식의 확장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소수의 사람들만 이러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면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조직 전체에 퍼져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그녀는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몇 가지 비법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지식 카드입니다.

– 이 아이디어는 도서관 직원들이 카드에서 주제를 꺼내 읽고, 읽고, 서로 토론하며 전문성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모든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일이며, 이 카드는 휴게실 테이블 위에 놓아두면 됩니다.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쉬운 방법입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또 다른 비결은 내부 홍보 대사입니다.

– 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저 혼자만 뛰어다니며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말씀드릴게요.” 저는 상향식 접근 방식을 신봉하는 사람이고, 이를 흥미롭게 생각하는 홍보대사 팀을 찾았습니다.

눈에 띄게 : 휠체어 접근이 용이한 체스 테이블.

유용한 모닝콜

홍보대사 중 한 명인 요르겐 스트롬메는 열람실과 장비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Anne은 여러 강좌와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시야를 넓히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더 많은 측면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유용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라고 스트롬은 말하며, 이는 조직 전체가 인식함으로써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지식이라고 믿습니다.

–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요. 모든 수준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 생각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라고 Strømme는 말합니다.

협업

Aagaard의 작업 중 일부는 트론헤임 시와의 협업의 일환입니다.

“혼자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트론헤임 공공도서관과 다이히만이 힘을 합쳤습니다. 서로 다른 관점과 자원 상황을 가진 두 도서관이 노르웨이 도서관 전체에 적용되는 원칙을 찾을 수 있을지 살펴볼 것입니다.”라고 서비스 디자이너 Aagaard는 말합니다.

Anne Aagaard는 현재 Eliva의 서비스 디자이너입니다.

“아스퍼거 장애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나요? 아스퍼거를 가진 사람을 대할 때 어떻게 행동하나요? 이에 대해 더 많이 알면 모두에게 좋은 방식으로 행동하기가 더 쉬워집니다.”라고 서비스 디자이너 Anne Aagaard는 말합니다.
철저한 테스트를 거쳤습니다: 표지판은 전체 지자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읽기 쉬운 글꼴로 검은색 바탕에 흰색 글자로 제작되었습니다. Aagaard는 이전에 오슬로 시의 새로운 비주얼 아이덴티티 개발에 참여한 바 있습니다. 노르웨이 시각장애인 협회와 난독증 노르웨이 협회도 철저한 테스트를 통해 결과물에 기여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도서관과 웹사이트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Anne의 작업은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우리가 보다 체계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사내 접근성 홍보대사인 Jørgen Strømme는 말합니다
밑에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
프로토타입: 다양한 사람들에게 더 큰 통찰력과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카드의 프로토타입을 들고 있는 서비스 디자이너 Anne Aagaard “우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무엇이 중요한지 알아내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전달합니다. 2022년, Deichman은 포용적 디자인 작업을 위해 노르웨이 디자인 및 건축 협회(DOGA)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출처 : annonse.kommunal-rapport.no